1. 최근에 대외경제 연구원 KDI 한국개발연구원 에서 발표한 세계경제 전망에 따르면 주요국의 경기지표가 예상을 상회하면서 성장 전망이 개선 되었습니다.
• 또한 IMF는 주요국의 고금리 기조 장기화와 중국경기 부진 등을 고려하여 2024년 세계경제가 2023년(3.0%)보다 소폭낮은 2.9%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이러한 정망들은 계속 변할 수 있으니 실시간 정보는 세계경제 뉴스에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미국의 금리인상이 예상되면서 고금리 기조의 장기화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미국 10년물 국채금리가 5%에 도달하였고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고금리 장기화를 연일 공언하였습니다.
• 이에따라 경기침체 회피 및 고금리 장기화 가능성을 감안할 때 약세폭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이런 고금리 장기화 기조에도 불구하고 외환시장은 지난해에 비해 안정적인 상황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이럼에도 불구하고 가계의 소비전망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고물가와 고금리 기조가 장기화 되는 상황에서 가계의 소비심리가 악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런상황이 경제전반에 악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앞으로의 경제동향을 주의깊게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 중국경제에 대한 자세한 분석은 제공해드리지 못하니 현재 제공된 자료만으로는 중국경제에 대한 충분한 분석을 하기 어렵습니다. 더 깊이있는 분석을 원한다면 더 깊이있는 전문적인 경제분석 기관이나 뉴스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2. 그럼 이런 고금리 기조의 장기화에 따른 외환시장 상황은 어떨까요?
• 미국의 고금리 장기화에 대한 가능성이 커졌음에도 불구하고 국제금융시장의 불안심리는 지난해에 비해 덜하며 국내외환시장의 달러화 수급상황도 안정적입니다. 물론, 고금리 장기화 가능성과 위험자산 고평가 등으로 미국경제의 연착륙 기대가 높아지면서 금융시장의 위험선호가 지속되고 있지만 이에따라 국제금융 및 외환시장에 미칠 영향을 한국은행이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있습니다.
• 다만, 미국연준의 긴축장기화 우려와 고금리에 따른 벨류에이션 부담 등으로 외환시장이 하락할 가능성이 있으니 이에대한 대응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을 고려하면 외환시장의 동향을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상 세계경제 전망에 대한 포스팅과 외환시장 고금리에 대한 이야기 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