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하반기 세계경제 변화.


1. 하반기 세계경제가 바닥을 칠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ㅇ 이에따라 국제금융센터는 하반기 세계경제에 영향을 미칠 6대이슈로 주요국 통화정책의 급격한 변화, 스테그플레이션(stagflation 물가상승을 동반한 경기침체)위험, 고금리 취약부문의 부각, 주요국 재정건전성 악화, 국제원자재 가격상승 재발, 지정학적 리스크 등을 선정했습니다.

ㅇ 2023년 세계경제는 2% 중후반으로 성장율이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되는 가운데 중국경제의 회복속도, 미국경제의 침체가능성에 대한 불확신성이 여전히 높은 상황입니다.

이런 대내외 경제여건을 종합적으로 분석할 때 올해 상반기에 제조업을 중심으로 경기가 둔화되었던 우리경제는 하반기에 다소 완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ㅇ 이에따라 KDI 한국개발연구원 은 2023년 상반기에 경기저점을 형성한 후, 하반기에는 경기가 완만하게 회복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러한 경기부진 전망은 자동차와 반도체를 중심으로 수출감소폭이 축소되면서 제조업의 성장세가 확대된 데 기인합니다.

2. 2023년 상반기에는 글로벌 경기가 부진한 가운데 주로 수출품목인 반도체의 위축으로 경제성장률이 1% 내외로 하락한 후 하반기에는 중국경제 회복에 따른 영향과 반도체 부진 완화로 경기가 완만하게 회복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ㅇ 이에따라 2023년 우리경제는 민간소비의 회복에도 불구하고 수출부진으로 1.5% 성장에 그치며 2022년 2.6%에 비해 성장세가 둔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ㅇ 2024년 우리경제는 완만한 성장세를 보이는 가운데 물가상승세 가 점차 안정됨에 따라 2024년 말 경에 거시경제가 정상적인 수준에 이를것으로 전망됩니다.

ㅇ 이에따라 경기부진에도 불구하고 양호한 고용여건이 유지되고 근원물가 상승세가 높은수준에 머물러 있어 물가안정을 위한 긴축적 거시경제 기조가 요구되는 상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