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오늘은 생산자 물가에 대해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

센스만점우리아빠 2023. 10. 8. 16:17


1. 생산자 물가지수(PPI, Producer PrIce lndex)생산자 물가지수란 경제활동의 중간단계에서 발생하는 가격변동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주로 소비재를 생산하는 기업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 원자재나 부품을 취득할 때의 가격변동을 말합니다.

즉 제품이나 서비스를 생산할 때 드는 비용의 변동을 보여줍니다. 생산자 물가지수가 오르면 기업의 원가부담이 커져 그 비용이 소비자에게 전가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소비자 물가상승의 전조로 볼 수 있습니다.

2. 소비자 물가지수(CPI,Consumer Price Index)소비자 물가지수는 일반가정에서 소비되는 물품과 서비스의 가격변동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일반가구에서 구입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가격변동을 통해 물가상승을 측정합니다. 이 지수가 상승하면 실질구매력이 하락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인플레이션 (물가상승)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 사용됩니다. 이는 가정의 생활비 증가률을 나타내는 지표로, 일상생활에서 소비하는 물품의 서비스의 가격이 얼마나 변했는지를 나타냅니다.

즉 소비자 물가지수가 상승하면 그만큼 일반가정의 생활비 부담이 커진 것입니다.
이는 소비자의 구매력 돈의 가치를 나타내는 지표로도 사용됩니다. 이 지표는 중앙은행이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참고로도 활용됩니다.

따라서 이 두 지표는 우리일상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경제의 흐름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3.PPI CPI의 차이점은?


생산자 물가지수(PPI Producer Price Index)와 소비자 물가지수(CPI, Consumer Price Index)는 모두 물가변동을 측정하는 지표이지만, 측정대상과 사용 목적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1. 측정대상: PPI는 생산자 측면에서 볼 때의 가격변동을 측정합니다. 즉 기업이 원자재나 부품을 구입하거나 서비스를 이용할 때의 가격변동을 나타냅니다.

2. CPI는 소비자 측면에서 볼 때의 가격변동을 측정합니다. 즉 일반가정이 소비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가격변동을 나타냅니다.

결론적으로 PPI와 CPI는 물가변동을 측정하는 지표이지만 그 측정대상과 활용목적이 다릅니다. PPI는 생산과정에서의 가격변동을, CPI는 최종소비 단계에서의 가격변동을 측정합니다. 또한 PPI는 미래의 물가변동을 예측하는데, CPI는 현재의 물가상황을 파악하는데에 주로 사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