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시간에는 경제에서 스테그플레이션 이란 무엇인지 말씀 드리겠습니다.
1. 스테그플레이션은 'stagnation' 과 'inflation'의 합성어로, 경제가 침체되거나 축소되는 상황과 동시에 물가상승률이 높아지는 경제상황을 말합니다.
ㅇ 1970년대의 석유위기 때 미국경제가 스테그플레이션에 빠진사례가 가장 유명합니다. 이때 미국은 고용률이 떨어지고, 경제성장이 정체되는 동시에 물가상승률이 높아지는 어려운 경제상황에 직면하였습니다.
ㅇ 스테그플레이션은 일반적으로 경제정책을 통해 해결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통화정책을 통해 경제를 활성화 시키려고 하면 물가상승률이 높아져 인플레이션을 악화시키고, 반대로 물가상승률을 낮추고 통화를 수축시키면 경제성장률이 더욱 떨어져 경기침체를 악화시키기 때문입니다.
2. 그럼 스테그플레이션의 대처방안은 무엇일까요?
ㅇ 스테그플레이션의 대처방안은 명확하게 정리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는 인플레이션과 경기침체 두가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해야 하는 어려움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 제안되는 몇가지 대응방안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구조적 개혁: 경제의 구조적 문제, 즉 효율성이 떨어지는 산업이나 기업, 노동시장 등을 개혁하여 경제의 생산성을 높이는 방안입니다. 이렇게 하면 경제성장을 촉진하고, 동시에 물가상승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2. 긴축정책: 통화정책이나 재정정책을 통한 긴축을 통해 물가상승률을 누르는 방법이 있습니다. 단 이방법은 경제성장을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신중하게 접근해야 합니다.
3. 공급 측 경제정책: 공급 측 경제정책은 기업이 생산능력을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통해 물가상승률을 억제하고, 동시에 경제성장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대처방안들은 모두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해결책이며, 단기적으로 스테그플레이션을 완화시키기는 어렵습니다. 따라서 스테그플레이션에 대한 대응은 매우어렵고 복잡한 과제입니다.
이상 우리경제가 지금 직면하고 있는 스테그 플레이션에 대해 알아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