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주식, 코인 을 가져올 수 있다.

오늘은 기후변화에 맞선 한국정부의 재생에너지 정책에 대해 말씀 드리겠습니다.

센스만점우리아빠 2023. 10. 27. 19:12



1. 한국정부는 해마다 변화하는 기후변화에 맞서 재생에너지 의 비중을 늘리기 위해 다음과 같은 주요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1. 재생에너지 2030정책:  2030년 까지 전력생산량의 2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정책입니다. 이를위해 태양광과 풍력 등을 중심으로 재생에너지 발전시설을 확충합니다.

2. RPS(Renewable Portfolio standard) 제도:  이는 발전사업자가 전체 발전량 중 일정비율 이상을 재생에너지로 생산하도록 의무화 하는 제도입니다.

3. FlT(Feed-in Tariff) 제도: 재생에너지 발전 사업자에게 일정기관 동안 고정된 가격으로 전력을 매입하겠다는 보장을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4. 그린뉴딜 정책: 이는 기후위기에 대응하고 경제를 회복하며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정책입니다. 이를통해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고자 합니다.

5. 재생에너지 발전소 설치에 대한 규제완화:   정부는 정책에너지 발전소설치를 촉진하기 위해 관련규제를 완화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다양한 재생에너지 프로그램과 장려금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2. 한국의 재생에너지 발전소 현황은 어떤가요?



1. 한국의 재생에너지 발전소 현황은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태양광과 풍력발전 비중이 점차 늘어나고 있습니다.

2. 2020년 기준으로 한국의 재생에너지 발전소는 약 81.000여개로 대부분이 태양광 발전소입니다. 이는 태양광 발전소의 설치비용이 점차 저렴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우리나라도 해마다 더 거세지고 있는 기후변화 대응으로 부터 탄소중립을 지키고 기후변화로 부터 국민의 지식 재산권을 지키기 위해 다양한 대책을 세우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