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한미 FTA 개정이 후 미국의 수입증가는 어떻게 됐을까요?

센스만점우리아빠 2023. 10. 30. 05:57

이번시간에는 지난시간에 이어 한미 자유무역협정 FTA 에 대해 연속으로 올리니까 지난시간 포스팅 보지 않은 이웃님들 지난시간꺼 학습하고 오셔야 이해가 잘 될 것입니다.


1. 한미 FTA 개정 이후 미국의 수입증가는 상당히 뚜렷해졌습니다.


•  2018년 개정된 한미 FTA 에 따르면 한국에서 미국으로 수출되는 자동차의 연간 수량제한이 2만 5천대에서 5만대 늘어났습니다. 이로인해 미국이 수입하는 한국의 자동차 대수가 증가했습니다.

•  또한 한국은 미국산 농산물에 대한 관세를 점차적으로 제거하거나 감소시키는 등 농업시장을 더욱 개방하였습니다. 이로인해 미국의 농산물 수출이 증가 하였습니다.

그러나 미국의 무역적자가 크게 줄어들지 않았습니다. 이는 미국이 한국으로 부터 수입하는 제품의 수가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한미 FTA 가 미국의 적자문제를 완전히 해결하지 못하였습니다.

•  미국의 무역정책은 무역적자를 즐이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계속해서 탐색하고 있으며 한미 FTA 는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미국은 FTA 를 통해 미국 기업의 해외시장 접근을 개선하고 미국경제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에도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2. 그럼 한미 FTA 체결 이후 미국의 수입변화는 무엇일까요?


1. 한미 FTA 이후 미국이 한국으로 부터의 수입은 크게증가 하였습니다. 특히, 자동차, 전자제품, 기계장비의 수입이 크게 늘었습니다. 또한 한국은 미국산 농산물에 대한 관세를 점차적으로 줄여 미국의 농산물 수출도 증가 하였습니다.

2.  한미 FTA 체결이전에 비해 미국의 한국수입은 전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미국의 한국으로 부터 무역적자는 여전히 큰 상황입니다. 이는 미국이 한국으로 부터 수입하는 제품의 수가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기 때문입니다.

3.  한편 한미 FTA 는 미국기업이 한국시장에 더 쉽게 진출할 수 있도록 해, 미국 기업에게도 많은 이점을 가져다 주었습니다.
이는 미국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미국경제의 성장을 촉진하는데 기여하였습니다.

4.  그러나 한미 FTA  가 미국의 무역적자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지는 못하였습니다. 이에따라 무역정책의 재 평과와 개선이 계속해서 필요한 사항입니다.

이상 한미 FTA 체결이 후 한국과 미국의 수출
수입증가 또 기업들의 이익에 대해 이야기 해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