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엔 중앙은행의 통화 타겟팅(Currency Targeting) 방식이란 무엇인지 말씀드리겠습니다.
1, 통화 타겟팅(Currency Targeting) 방식은 중앙은행이 통화량을 조절하여 물가를 안정시키는 방식을 말합니다. 주로 중앙은행이 물가상승률을 일정 범위내에서 유지하는것을 목표로 합니다.
1. 이 방식은 물가의 안정을 우선시하는 경제정책으로 통화정책의 투명성을 높여 사장의 예측 가능성을 증가시키고 중앙은행의 독립성을 강화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2. 통화 타켓팅 방식은 물가상승률 타켓팅, 통화량 타켓팅 등이 있습니다. 물가상승률 타컷팅은 물가상승률을 일정범위로 유지하려는 것을 목표로 하고, 통화량 타켓팅은 시중에 풀리는 돈의 양을 조절하여 물가를 안정시키려는 것을 목표로 하고있습니다.
3. 중앙은행이 물가상승률을 2%로 설정했다면 중앙은행은 통화정책을 통해 물가상승률이 2%넘지 않도록 노력하게 됩니다. 이를위해 필요하다면 금리를 인상하여 통화량을 줄이거나, 금리를 인하하여 통화량을 늘리는 등의 조치를 취하게 됩니다.
2. 그럼 통화 타겟팅 장단점은 무엇일까요
통화 타겟팅 장단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장점
1. 투명성: 통화 타겟팅 방식은 중앙은행의 정책 목표와 방향을 명확하게 제시하므로, 통화정책의 투명성이 높아집니다. 이로인해 시장 참가자들이 중앙은행의 행동을 예측하기 쉬워져 경제의 안정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2. 명확한 목표: 통화 타켓팅 방식은 명확한 목표(예: 물가상승률 2%)를 설정하므로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이 목표를 향해 일관성있게 추진돨 수 있습니다.
3. 중앙은행의 독립성 강화: 통화 타켓팅 방식은 중앙은행이 자체적으로 정책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추진하므로, 중앙은행의 독립성을 강화시킬 수 있습니다.
단점
4.유연성 부족: 통화 타겟팅 방식은 물가안정에 초점을 맟추므로, 경기상황이나 고용상황 등 다른 경제상황에 대한 대응이 늦어질 수 있습니다.
5. 예측의 어려움: 물가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변동되므로, 통화량만을 조절하여 물가를 제어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중앙은행이 목표로 설정한 물가상승률을 달성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6. 금융안정에 대한 고려부족: 통화타겟팅 방식은 물가안정을 우선시하므로, 금융시장의 안정성에 대한 고려가 상대적으로 부족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금융위기 등 비정상적인 상화에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3. 통화타겟팅 방식의 적용 국가는?
ㅇ 통화 타겟팅 방식은 많은 국가들의 중앙은해에서 채택하고 있는 정책입니다. 그 중에서도 물가상승률 타겟팅은 캐나다, 영국, 스웨덴, 뉴질랜드, 노르웨이 등에서 적용하고 있습니다.
예를들어 캐나다 중앙은행은 1991년 부터 물가상승률 타겟팅을 시작하여, 일정한 물가상승률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유지하는데 초점을 맟추고 있습니다. 영국 중앙은행인 영란은행도 비슷한 방식으로 물가상승률 타겟팅을 하고 있습니다.
한편 통화량 타겟팅은 스위스 등 일부 국가에서 적용되었지만, 현제 크게 채택하고 있는 국가는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각 국가의 중앙은행은 해당국가의 경제상황, 물가안정, 경제성장 등을 고려하여 통화정책을 결정하며, 통화 타겟팅 방시도 이런상황에 따라 적용되고 조절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