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OECD가 올해 전세계 경제성장률을 고물가와 저 성장으로 규정했습니다.

센스만점우리아빠 2023. 12. 18. 15:25


•  그럼 OECD가 이렇게 세계경제를 고물가와 저성장으로 본 원인은 어디에 있을까요?

1. 세계경제를 고물가와 저성장 문제를 제기한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우선, 에너지 위기가 가져온 고물가와 저성장 문제가 가장 중요한 원인입니다. 세계 경제는 에너지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세계적 노력, 즉 에너지 절약 및 재생에너지 개발로 이어지고 있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에너지 가격상승은 올해의 큰 이슈였습니다.

또한 수출부진도 한국 경제성장이 더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히고 있습니다. 그리고 올해 가장 큰 하나로 지적 되는것이 고물가 입니다. 고물가는 물가상승률이 목표치를 초과할 때 발생하며, 이는 소비자들의 구매력을 감소시키고 경제성장의 전반을 저해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OECD는 고물가와 부채가 세계경제에 부담을 줄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계속되는 무역수지 적자와 고금리 등이 한국경제의 위기 원인으로 꼽히고 있으며, 이러한 조건들이 계속 된다면 저성장이 고착화 될 가능성이 있다고 제시되고 있습니다.

2. 그럼 에너지 위기의 영향은 무엇인가요?


올해 에너지 위기는세계경제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에너지 위기는 일반적으로 에너지 공급이 감소하게 되면서 에너지 가격이 급등하였습니다. 이는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면서 생산비용이 증가하였고 이는 곧 소비자 물가 상승을 초래 하였습니다. 이에따라 소비자 구매력이 감소하고, 그 결과로 전반적인 경제성장이 저해 되었습니다.

특히 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촉발된 유럽의 에너지 위기는 유럽내외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올해 한국에서도 에너지 가격이 많이올라 가계에 큰 부담을 주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고가의 에너지 대체품을 사용하거나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해 추가 투자를 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이러한 추가 비용은 사업비용을 늘리고, 이는 곧 상품의 가격에 반영되었습니다. 따라서 이는 소비자 물가 상승으로 이어졌습니다.

이렇게 모든 세계 경제는 우리의 식생활과 밀접히 연결되어 있어 지금 우리는 이렇게 고물가, 고금리, 저성장에 빠져있습니다.

이럴때 현명한 소비로 이 어려움도 슬기롭게 헤쳐나가 는것이 우리들의 과제인 것같아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