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요즘 한국 주식시장 변화와 전망
센스만점우리아빠
2023. 7. 26. 12:04
1. 하반기 한국의 주식시장 변화
한국의 주식시장은 올해 상반기에는 코로나19의 영향과 미국연준의 테이퍼링 우려로 부진했지만, 상반기에는 경기회복과 기업실적의 개선에 힘입어 소폭반등 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다만, 본격적인 상승세는 내년 하반기 이후에 시작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2. 하반기에는 성장주보다는 경기 민감주가 우위를 보일 것
하반기에는 성장주보다는 경기 민감주가 우위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방어주와 배당주도 주목할 만합니다.
또한 장기채 펀드를 활용한 투자도 권장하고 있습니다.한국의 코스피 지수는 저평가 구간에 들어섰으며 적정수준은 2900이라고 합니다.
3.한국의 주식시장에서 성장주와 민감주는 다음과 같이 정의해 볼 수있습니다.
* 성장주는 장기적으로 매출과 이익이 꾸준히 증가하는 기업의 주식을 말합니다. 경기가 좋아지면 기업의 수요와 실적이 좋아지고, 나빠지면 감소하는 PER(주가수익 비율) 이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됩니다. 성장주의 예시로는 IT, 방이오, 게임 등의 업종이 있습니다. 이러한 업종들은 기술혁신과 시장확대에 따라 지속적인 성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네이버, 카카오, 셀트리온, 넷마블 등은 대표적인 성장주로 꼽힙니다.
*경기 민감주는 경기 사이클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주식을 말합니다. 경기가 좋아지면 수요와 실적이 증가하고, 나빠지면 감소하는 특징을 가집니다. 경기 민감주의 예시로는 건설, 조선 , 철강, 화학, 자동차 등의 업종이 있습니다.
예를들어, 현대건설, 대우조선해양,포스코, LG화학, 현대자동차 등은 대표적인 민감주로 알려줘 있습니다.
4. 경기성장주의 장점
성장주와 경기 민감주는 투자 전략에 따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성장주는 장기적인 시야를 가진 투자자에게 적합하고 경기민감주는 단기적인 시야를 가진 투자자에게 적합합니다. 또한 성장준는 경기에 상관없이 수익성이 유지되지만 경기 민감주는 경기 변동에 따라 수익성이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5. 경기성장주의 단점
경기민감주의 단점은 경기 변동에 따라 수익성이 크게 달라지며 코로나19와 같은 위기상황에서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것입니다. 경기민감주는 경기가 나빠지면 수요와 실적이 감소하며 컨택트 비즈니스 모델로 인해 사회적 거리두기 등에 취약합니다.
그리고 경기 민감주는 상대적인 가격 메리트가 있으며 경기가 회복되면 상대적으로 수요가 증가하며, 정책적인 동력과 글로벌 수요에 영향을 받습니다. 또한 경기 민감주는 낮은 PER로 거래되며 가치투자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