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상반기 반도체 가격이 내리면서 한국의 무역수지가 적자를 찍었다.

센스만점우리아빠 2023. 8. 12. 12:31

1.  상반기 반도체 가격 하락과 우리수출 시장에 준 영향.

상반기 반도체 가격 하락은 다음과같은 원인으로 발생 하였습니다.

 

첫째: 코로나19 팬대믹으로 세계적인 IT 수요의 감소. 코로나19 팬대믹은 국제여행, 산업활동, 교통수단 이동량을 크게 감소 시켰습니다. 이로인해 세계적으로 PC, 스마트폰, 서버등의 IT제품의 소비량이 감소하고, 반도체수요도 줄었습니다.

 

둘째: 반도체 생산자들의 과잉 투자와 재고 증가: 코로나19 팬대믹 초기에는 IT 수요가 증가하면서 반도체 생산자들은 생산, 설비투자를 확대하고, 부품공급이 끊어질것을 우려해 주문량을 늘였습니다. 그러나 수요가 급격히 줄어들면서 시장에 재고가 쌓이게 되었습니다. 이는 반도체 가격을 하락시키는 요인이 되었습니다.

 

셋째:  중국의 반도체 자립 추진과 경쟁심화: 중국은 미국과의 무역분쟁과 기술제재에 대응하기 위해 반도체 산업의 자립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자국내의 반도체 생산량을 늘리고, 고급 반도체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많은 투자와 인력을 투입하고 있습니다. 이는 세계반도체 시장에서 중국과 다른국가 들의 경쟁이 심화되고, 가격경쟁이 심화되는 결과를 나았습니다.

 

2.  상반기 반도체 가격하락은 한국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습니다.

*  한국의 수출액은 상반기 6개월 연속 감소했습니다. 특히 6월에는 전년동월 대비 10.9% 감소한 394억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2019년 9월(-11.7%) 이후 최대 감속폭이었습니다. 수출액 감소원인은 반도체수출이 33.9% 줄어든 것이었습니다. 반도체수출은 한국수출의 약20%를 차지하는 핵심 품목입니다.

 

*  한국의 무역수지는 상반기 5개월 연속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6월에는 20억 달러의 적자를 보았습니다. 이는 2018년 1월(-37억 달러) 이후 최대 적자 규모였습니다. 무역수지 적자의 주요원인은 수출의 감소와 원자재 가격의 상승으로 수입액 증가였습니다. 수입액은 6월에 전년동월 대비 11.8% 증가한 414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상반기 반도체 가격 하락과 한국 무역수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은 링크를 통해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한국반도체 수출 6개월째 부진... "아직 바닥 찍지 않았다" BBC News 코리아* 한달만에 무역수지 반토막... "원자재 급등, 반토체 피크아웃" 충격 시작되나. 조선비즈* 중국의 반도체 자립 추진과 한국의 대응방안- KIEP* 6월 수출10.9% 내려감... 반도체 가격하락 등 영향- 뉴시스* (6월 무역수지 20억달러 적자... 2018년 이후 최대- 연합뉴스

 

3.  상반기 반도체 수출이 부진하면서 한국경제에 많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반도체 수출이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반도체 수출은 한국수출의 총 20%를 차지하는 핵심 품목입니다. 반도체수출이 증가하면 수출액과 무역수지가 개선되고, 반도체 생산업체의 매출과 이익이 증가합니다. 이는 세수와 소비, 투자등을 통해 내수와 고용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2)  반도체 수출이 감소하면 수출액과 무역수지가 악화되고, 반도체 생산업체의 매출과 이익이 감소합니다. 이는 세수와 소비, 투자등을 통해 내수와 고용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반도체 수요가 감소하면 가격이 하락하고, 반도체 생산업체의 수익성이 감소합니다. 이는 반도체 생산업체의 투자와 연구개발 화동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반도체 수출은 한국의 경제성장률에도 많은 영향을 미칩니다. 한국은행은 2020년 한국경제 성장율을 1.3% 하향 조정했는데, 이는 반도체 수출이 크게감소한 것이 주요 원인이었습니다. 반대로 2018년 한국경제 성장율은 2.7% 예상보다 높게 나왔는데 이는 반도체 수출이 크게 증가한 영향이었습니다.

4.  한국의 반도체 산업전망

한국의 반도체 산업전망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한국은 메모리반 도체 분야에서 세계최고의 경쟁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와 SK 하이닉스는 D랩과 랜드플래시 시장에서 각각1위와 2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기술개발과 투자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삼성전자는 2023년 상반기에 3나노급 공정으로 D을 양산 하였으며, SK하이닉스도 2024년에 4나노급 공정으로 D랩을 양산할 계획입니다. 이러한 기술력은 중국 등 신흥경쟁자들과의 격찰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2) 한국은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서는 상대적으로 취약합니다.시스템 반도체는 CPU,GPU, AI 칩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반도체로, 첨단기술과 설계능력이 필요합니다. 현재 시스템 반도체 시장은 미국과 대만이 주도하고 있으며, 한국은 시장점유률이 5% 수준에 불과합니다. 한국의 시스템 반도체 업체들은 파운드리(위탁생산) 업체에 의존적이며, 고부과가치 제품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3)  한국은 고부과가치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정부와 민간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정분는 "k칩스법" 이라고 불리우는 반도체 특별법을 제정하여, 반도체 및 장비생산을 위한 투자와 설비비용의 8%에 대해 세액공제를 해주는 등 세제지원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정부와 삼성전자 SK 하이닉스, OB하이텍 등 주요업체들은 "K반도체 전략"을 수립하여, 2030년 까지 510조원의 투자와 15만명의 인력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를통해, 한국은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의 세계1위 자리를 지키고,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서 세계4위 자리로 도약할 계획입니다.

 

*  메모리 반도체-  위키백과, 우리모두의 백과사전

*  삼성전자, 2022년 반도체 매출1위...SK 하이닉스는 4위' 한국경제

*  삼성전자, 3나노 D랩 양산 성공... SK 하이닉스도 추격.  조선비즈

*  중국의 반도체 자립추진과 한국의 대응 방안- KIEP

*  시스템 반도체 위키백과, 우리모두의 백과사전

*  한국의 반도체 산업의 현안과 전망- KIET

*  [반도체 특별법- 위키백과, 우리모두의 백과사전]

* [ K 반도체 전략- 위키백과, 우리모두의 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