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세계경제가 직면하고 있는 현상황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센스만점우리아빠 2023. 9. 18. 15:36

1. 세계경제 상황

세계경제는 여러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위기와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인해 세계경제가 둔화되고 있습니다.

 

*  미국, 유럽, 영국 등 주요 선진국들은 매우 낮은 성장세를 보일 전망입니다. 미국은 2023년 0.6%의 매우낮은 경제성장률을 보일 전망이며, 물가와 금리 부담에 따른 민간경제활동 위축, 중간선거 이후 정치적과정에 따른 정책의 제약이 예상됩니다. 유로지역은 0.0%, 영국은 -0.2%의 성장률을 기록할 전망입니다.

 

*  세계경제는 지역별로 다른상황을 겪고있으며, 경제지표를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미국은 2009년 이래 가장느린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OECD 따르면 코로나19로 인해 미국발 경제위기가 있었던 2009년 이래 세계경제가 가장 느린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IMF는 중장기적으로는 성장률이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  세계경제의 상황은 매우 복잡하며, 당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지난 4월 IMF총재는 올해 세계경제 전망치를 3.6%로 제시한바 있습니다. 게오르기예바 총재는 이번 하향조정의 원인으로 우크라이나 전쟁, 예상보다 심각한 인플레이션을 꼽았습니다.

 

2.  이러한 하방위험이 전세계 수백만명의 생활비 위기를 악화시키고 있다고 하면서 특히 이중에서도 빈민층이 고통받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  외화바닥난 파키스탄 정부는 경제가 어려우니 소비를 줄이고 차를 몰지말라고 경고했다.

 

* 그리고 아랍인들은 민주주의 하에선 경제가 더 어렵다고 믿고 있습니다. 한편 같은날 세계경제 대국인 미국의 소비자물가 지수는 지난해 같은달보다 9.1%급등한 것으로 발표되며 40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3. 지난달 15일에 열린 주요 20개국 재무장관 회의를 앞두고 IMF 총재가 세계경제전망이 "상당히 어두워 졌다"고  말하였습니다.

 

*  이번 G20재무장관 회의에서는 원자재가격 상승,식량안보, 주요 식량 수출국이었던 우크라이나 전쟁 영향등의 다양한 글로벌 경제하방위험에 대해 다뤘습니다.

 

* 페리 와르지오 인도네시아 중앙은행 총재는 "최선을 기대하면서도 당연히 최악의 상황에도 대비한다" 합의가 이루어 질 것이라는 전망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 게오르기예바 총재는 중앙은행들이 지속적인 기준금리를 인상하지 않을 경우 " 성장과 고용에 더 큰 해를 끼칠 것" 이라며 " 지금 나서는 것이 뒤늦게 조치하는 것보다 덜 아플 것" 이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코로나19 경기침체를 되살리기 위해 수십억 달러를 쏟아부은 국가들에서는 이러한 지원금으로 촉진된 수요를 억제하기 위해 지원금을 줄일 필요가 있다고도 말했습니다.

 

그러나 그는 취약계층을 위해서는 현금지원은 여전히 필요하다면서 특히 에너지 및 식량가격이 치솟으면서 가장 어려움을 겪고있는 이들의 지원은 여전히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